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8

백준 1297 문제 김탑은 TV를 사러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갔다. 쇼핑을 하던 중에, TV의 크기는 그 TV의 대각선의 길이로 나타낸 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김탑은 대각선의 길이가 같다고 해도, 실제 TV의 크기는 다를 수도 있다는 사실에 직접 TV를 보러갈걸 왜 인터넷 쇼핑을 대각선의 길이만 보고있는지 후회하고 있었다. 인터넷 쇼핑몰 관리자에게 이메일을 보내서 실제 높이와 실제 너비를 보내달라고 했지만, 관리자는 실제 높이와 실제 너비를 보내지 않고 그것의 비율을 보내왔다. TV의 대각선 길이와, 높이 너비의 비율이 주어졌을 때, 실제 높이와 너비의 길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TV의 대각선 길이 D, TV의 높이 비율 H, TV의 너비 비율 W이 공백 한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2022. 9. 22.
백준 4153 문제 과거 이집트인들은 각 변들의 길이가 3, 4, 5인 삼각형이 직각 삼각형인것을 알아냈다. 주어진 세변의 길이로 삼각형이 직각인지 아닌지 구분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개의 테스트케이스로 주어지며 마지막줄에는 0 0 0이 입력된다. 각 테스트케이스는 모두 30,000보다 작은 양의 정수로 주어지며, 각 입력은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출력 각 입력에 대해 직각 삼각형이 맞다면 "right", 아니라면 "wrong"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6 8 10 25 52 60 5 12 13 0 0 0 예제 출력 1 right wrong right 풀이(kotlin) -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한다. import java.lang.StringBuilder private val r = System.`in`.buff.. 2022. 9. 22.
백준 3053 문제 19세기 독일 수학자 헤르만 민코프스키는 비유클리드 기하학 중 택시 기하학을 고안했다. 택시 기하학에서 두 점 T1(x1,y1), T2(x2,y2)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T1,T2) = |x1-x2| + |y1-y2|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제외한 나머지 정의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정의와 같다. 따라서 택시 기하학에서 원의 정의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원의 정의와 같다. 원: 평면 상의 어떤 점에서 거리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 반지름 R이 주어졌을 때,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원의 넓이와, 택시 기하학에서 원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반지름 R이 주어진다. R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반지름이 R.. 2022. 9. 22.
백준 3009 문제 세 점이 주어졌을 때, 축에 평행한 직사각형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네 번째 점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세 점의 좌표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좌표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직사각형의 네 번째 점의 좌표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5 5 7 7 5 예제 출력 1 7 7 예제 입력 2 30 20 10 10 10 20 예제 출력 2 30 10 풀이(kotlin) - x좌표, y좌표 각각 두종류만 존재할 수 있기때문에 이 원리를 사용하여 풀이하였다. import java.lang.StringBuilder private val r = System.`in`.bufferedReader() fun main() { val xArr = IntArray(3).. 2022. 9.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