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Algorithm

백준 1780

by HanDongWook 2022. 10. 5.
반응형

문제

N×N크기의 행렬로 표현되는 종이가 있다. 종이의 각 칸에는 -1, 0, 1 중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우리는 이 행렬을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자르려고 한다.

  1. 만약 종이가 모두 같은 수로 되어 있다면 이 종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2. (1)이 아닌 경우에는 종이를 같은 크기의 종이 9개로 자르고, 각각의 잘린 종이에 대해서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종이를 잘랐을 때,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 0으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37, N은 3k 꼴)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N개의 정수로 행렬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둘째 줄에 0으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셋째 줄에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9
0 0 0 1 1 1 -1 -1 -1
0 0 0 1 1 1 -1 -1 -1
0 0 0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1 1 1 0 0 0 0 0 0
1 1 1 0 0 0 0 0 0
0 1 -1 0 1 -1 0 1 -1
0 -1 1 0 1 -1 0 1 -1
0 1 -1 1 0 -1 0 1 -1

예제 출력 1

10
12
11

풀이(Kotlin)

 - 제일 큰 사이즈일때 부터 모든 값이 같으면 -1, 0, 1이 아닌 값(아래 예에서는 -2)으로 변경하고 그 종이 갯수를 올린다.

 - 모든 종이가 -1, 0, 1이 아닌 값(아래 예에서는 -2)으로 변경될 때 까지 사이즈를 1/3로 줄여가면서 반복한다.

private val r = System.`in`.bufferedReader()

fun main() {
    val n = r.readLine().toInt()
    val arr = Array(n) { IntArray(n) }
    repeat(n) { i ->
        val tmp = r.readLine().split(" ").map { it.toInt() }.toIntArray()
        arr[i] = tmp
    }
    val ans = IntArray(3)
    fun check(size: Int) {
        if (size == 0) return
        loopI@ for (i in 0 until n step size) {
            loopJ@ for (j in 0 until n step size) {
                val tmp = arr[i][j]
                if (tmp != -2) {
                    for (x in i until i + size) for (y in j until j + size) {
                        if (arr[x][y] != tmp) continue@loopJ
                    }
                    for (x in i until i + size) for (y in j until j + size) {
                        arr[x][y] = -2
                    }
                    ans[tmp + 1] = ans[tmp + 1] + 1
                }
            }
        }
        check(size/3)
    }
    check(n)
    for (i in ans) println(i)
}
반응형

'Computer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8870  (0) 2022.10.06
백준 11055  (1) 2022.10.05
백준 2644  (1) 2022.10.05
백준 1699  (1) 2022.10.05
LeetCode - Plus One  (0) 2022.10.01

댓글